[인터뷰] 김만걸 샵체인 대표 “주문 데이터를 중소사업자와 공유하는 공존형 플랫폼 생태계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배달 플랫폼이 등장한 이후로 지역 내 식당이나 카페 등 소규모로 운영되는 점포들은 적어도 한곳 이상의 플랫폼에 가입하는 것이 필수가 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사회적 거리두기가 이어지는 과정 속에서 더욱 공고해 졌다.덕분에 배달 플랫폼 기업들은 이 기간 막대한 수익을 거뒀고, 부가적으로 배달 플랫폼에 종속돼 일하는 배달업의 호황도 이어졌다. 문제는 그 이후였다. 코로나19가 진정되고 엔데믹 상황에 접어들며 급상승했던 수익은 다시 하락세로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각 배달 플랫폼 기업들이 실적 하락을 막기 위해 선택한 것은 수수료 인상이다. 결과적으로 배달 플랫폼 기업들은 흑자를 기록했지만, 그 피해는 소비자들에게 전가되는 상황이다. 올라간 수수료가 소비자가 부담해야 하는 음식값에 더해진 탓이다.
샵체인의 드림오더 플랫폼이 적용된 매장 내부. (사진=샵체인)
그럼에도 불구하고 플랫폼과 소비자 사이에 껴 있는 자영업자들의 형편은 나아지지 않았다. 1만원이 훌쩍 넘는 치킨을 팔지만 인상된 플랫폼 수수료를 비롯해 차 떼고 포 떼면 막상 남는 것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배달 플랫폼을 통해 주문하는 방식이 일반화된 상황에서 이를 통한 주문을 포기하는 것은 자영업자들에게 사실상 폐업과 다름없는 공포로 다가온다. 울며 겨자 먹는 식으로 수수료 인상을 받아들인다고 해도 이를 곧이곧대로 소비자가격에 반영하려니 손님이 줄 걱정에 그도 여의치 않다. 이렇듯 플랫폼이 막강한 시장 지배력을 획득한 상황에서 자영업자들의 선택지는 갈수록 좁하지고 있다.이러한 플랫폼 시장 지배력의 근원은 그간 수집한 막대한 데이터에 있다.